후계자가 된 토드 콤스를 만난 찰리 멍거가 한 첫 질문

지금은 후계자가 된 토드 콤스를 만난 찰리 멍거가 한 첫 질문은 이것이다. “What percentage of S&P 500 businesses would be a “better business” in five years.” 이 질문에 콤스는 5%미만이라고 생각했지만 멍거는 2%미만이라고 말했다. 콤스는 500개 기업중에 25개 정도로 생각했고 멍거는 10개도 채 안될 것이라고 본 것이다!!

콤스가 버크셔에 합류해서 멍거와 버핏과 함께 일하면서 그들은 향후 5년 동안의 비즈니스 전망에 대해 대략 7/10 정도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는데 나중에 보니 대략 1/10 정도 예측이 맞았다고 한다. 세상의 본질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그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정말 어렵다.

좋은 비즈니스를 알아보는 성과지표가 있는지, 그리고 버크셔는 양적으로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콤스는 일반적으로 매일 한 가지 질문을 지속적으로 묻는 방법과 비즈니스에서 해자가 더 넓은지 좁은지 여부를 설명했다. 버핏과 콤스가 기업에 대해 토론하는 것의 98%는 정성적(품질)인 부분이다.

만일 한 기업의 계산한 PER가 30이라면 그것이 정당화 되려면 어떤 일들이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것들을 살펴봐야 한다. 최악의 비즈니스는 성장하면서 수익은 감소하는 무한대의 자본이 필요하고(아쉽게도 우리나라 대부분의 기업이 여기에 속한다) 최고의 비즈니스는 자본없이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한다.

버크셔는 보고된 이익이 아니라 owner’s earnings(FCF에 가깝다, 순이익+감가상각비-유무형자산투자-운전자본변동)에 집중한다. 보고된 이익과 owner’s earnings이 비슷하면 아주 좋은 사인이다.

애플 실적


콤스는 매주 토요일마다 버핏의 집에 가서 이야기를 나누는데(지난 주에도 몇 시간동안 얘기를 나누었는데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30초도 얘기하지 않았다고^^) 그들이 자주 사용하는 리트머스 시험지는 바로 이것이다.

“How many names in the S&P are going to be 15x earnings in the next 12 months? How many are going to earn more in five years (using a 90% confidence interval), and how many will compound at 7% (using a 50% confidence interval)?”

당시 이 시험지를 활용한 대화에서 동일한 3~5개의 이름이 계속나왔기 때문에 애플을 찾는데 이 채점기준표가 사용되었다고 밝혔다. 애플의 투자에 콤스가 어느정도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개인적으로 다른 후계자 테드 웨슬러가 아닐까 추측했었는데…과거 테드 웨슬러의 2016년 독일 잡지와의 인터뷰를 보면 아이폰의 높은 충성도와 애플 생태계에 대한 언급이 있다.

테드 웨슬러 애플


처음에 내가 틀렸다고 적었었는데 아직 틀렸다고 단정짓기엔 이른것 같다. 둘 다 기여했을 수도 있고. 버핏도 이전에 그의 젊은 투자 대리인인 Todd Combs와 Tedd Weschler 중 “한 명 이상” 이 그 투자 배후에 있다고 암시했었고 구체적으로 밝히길 꺼려했다.

토드 콤스는 본인이 직접 버크셔에 전화해서 찰리 멍거와 만나게 됐고 테드 웨슬러는 버핏과의 점심식사를 2년 연속으로 낙찰되어 버핏과 만났다.

“후계자가 된 토드 콤스를 만난 찰리 멍거가 한 첫 질문”의 5개의 생각

  1. 제가 가장 좋아하는 포스팅입니다. 몇 번을 다시 읽는지 모르겠네요. 투자는 어렵고 어렵다. 기준을 높여라. 맘에 드는게 거의 남아있지 않을만큼.

    1. 버핏이 평소 강조했던 말과 이 글에서 멍거가 토드 콤스에게 했던 질문은 거의 같습니다. 버핏은 “제가 알고 싶은 건 미래에 무엇이 될지입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백미러만 보고는 운전할 수 없다고도 했죠. 재무제표는 기업의 백미러입니다. 그걸 알고 재무제표를 봐야 합니다. 미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사람은 멍거와 버핏을 포함해 단 한 사람도 없기 때문에 두 사람은 자연스레 확률을 받아들였습니다. 그들은 대화에서 90%, 50% 확률이나 확신 같은 용어들을 흔히 사용합니다.

      버핏이 정답을 알려준 사례가 몇 개 있는데 그 중 하나가 1972~73년에 투자했던 워싱턴포스트입니다. 일전에 말씀드린 씨즈캔디(71년 매수)와 함께 버핏의 가치투자 2.0을 제대로 분석하기 아주 좋은 사례입니다. 버핏은 당시 약 4억달러 가치가 있는 워싱턴포스트가 8천만 달러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었다고 우리에게 정답을 알려줬습니다. 1972년이나 1971년 워싱턴포스트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그 앞 10년 정도 기간 동안의 백미러를 살펴 보면 왜 버핏이 4억 달러로 밸류에이션했는지 그 답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그런 작업을 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을겁니다..^^ 그때도 버핏은 워싱턴포스트를 2015년 애플처럼 PER15 이하에서 매수했습니다. 이번 구글 매수는 버핏이 아닌 게 확실합니다..ㅋㅋ

    2. “우리의 워싱턴포스트 보유 지분은 1973년 중반 주당 기업 가치의 4분의 1 이하로 모두 매입한 것입니다. 기업 가치 대비 주가 배수를 계산하는 데는 특별한 통찰력이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대부분의 증권 애널리스트들, 미디어 담당 브로커들, 미디어 경영진들도 워싱턴포스트의 내재가치를 우리처럼 4~5억 달러로 추정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시가총액 1억 달러는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매일 발표되고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우리가 가진 우위는 태도였습니다. 우리는 벤저민 그레이엄으로부터 ‘좋은 기업의 주식을 기업 가치보다 크게 할인되어 거래될 때 매수하는 것’이 투자 성공의 열쇠라고 배웠습니다.”
      – 워런 버핏

      버핏이 투자한 직후 워싱턴포스트 주가는 20% 이상 하락한 뒤 3년 동안 박스권에 머물렀다. 2013년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가 인수할 때 빠져나온 버핏의 수익률은…1973년 122억원 투자로 2013년 1조 1200억원(물론 배당은 제외)으로 9,000%(40년 CAGR로 계산하면 약 12%)가 넘었다. 이 수익률에는 버핏이 캐서린 그레이엄과의 교분을 쌓고 워싱턴포스트 이사회에 들어감으로써 얻게 된 사회적 지위와 명성, 그리고 그외 수많은 투자로 연결된 만남들은 포함되지 않았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