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wdStrike 주가 -11%

CrowdStrike 주가가 어제 하루만 -11% 하락했다. CrowdStrike는 세계 최고의 사이버 보안 회사 중 하나로 Fortune 500대 기업 중 절반 이상이 이 회사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위협을 감지하고 침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작업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회사다. 시가총액 742억 달러로 IT 보안 업계에서 Palo Alto Networks(1,071억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가총액이다.

CrowdStrike 주가

(야후 파이낸스)

현재 PER(TTM) 554.47 이다. 10초 간단 내재가치를 계산할 필요도 없을 정도로 감히 쳐다도 못 볼 숫자다. Forward PER 조회해 보니 76.34 정도다. 이익성장률이 엄청나다는 걸 두 개의 숫자로도 알 수 있지만 현재의 밸류는 이익성장률이 높다는 수준 이상이다. 아마도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과 관련해 현재 시장에서 제일 잘 먹히고 있는 AI 테마가 묻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좋아지고 있는 실적과 제일 핫한 AI 테마가 결합했고 거기에 인덱스 신규 편입까지..

CrowdStrike 분기이익

최근 6개 분기 실적을 보니 턴어라운드에 성공하면서 큰 성장을 보이고 있다. 과거 기사를 조회해 보니 최근 5개 분기동안 좋은 실적을 보여 지난 6월에 S&P500 지수에 새로 편입했다는 글이 보인다. 상장된 지 약 5년 만에 S&P 500 지수 편입에 성공했으며, 이는 사이버 보안 회사 중 최단 기간 기록이라고 한다. 지수에 새로 편입되면 인덱스펀드 자금이 대량 유입되어 주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는데 이번 사태로 그 상승분은 거의 다 반납한 모양새다. 인덱스 투자에는 많은 장점들도 있지만 이런 단점들도 존재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세상의 종말이 오면 AI가 어떤 종류의 원자력 발전소를 점령하고 전기를 끊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잘못된 업데이트에 약간의 코드가 추가되어 상호 의존적인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연쇄 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큽니다.” 사이버 보안 연구원인 코스틴 라이우가 CNN에 농담조로 한 말이다. 전문가들은 소수의 회사가 바이러스 백신 및 위협 탐지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은 그 자체로 위험을 초래한다고 말하고 있다. 조직이든 생물이든 IT든 투자든 또는 그 어떤 분야건 간에 다양성이 부족하면 취약성은 증가하기 마련이다. 이를 반영하듯 CrowdStrike 주가가 급락한 반면 경쟁사 팔로알토 네트웍스(NAS:PANW) 주가는 2.16% 올랐고 동종업체 센티넬원(NYS:S) 주가는 7.85% 급상승했다.

이번 사태로 비행기가 멈추고 911서비스와 의료서비스가 중지되고 은행업무가 중단되고 운송망도 영향을 받았다. Microsoft는 성명에서 이번 서비스 중단으로 인해 850만 대의 Windows 기기가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모든 Windows 기기의 1% 미만이지만, “광범위한 경제적, 사회적 영향은 많은 중요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업이 CrowdStrike를 사용하는 것을 반영한다.”라고 언급했다. 이번 일로 회사의 명성에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CrowdStrike 목표주가 조정
CrowdStrike 목표주가 조정

“CrowdStrike 주가 -11%”의 4개의 생각

  1. 일전에 보안기업 이야기 해주셔서 염두해두고 있었는데 지난 한해동안 큰 이슈들이 발생했네요. 제가 다니는 회사부터 최근 예스24, SKT, 서울보증보험 사태들까지. 고객정보가 기업가치의 핵심인데 사건이 터지기 전까진 소모하는 비용으로 취급받을수 있어서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겠습니다. 트럼프가 국방비를 GDP대비 5% 수준까지 올리라고 해서 갑론을박중인데 한국의 정보보호협회는 보안비용을 10%까지 의무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네요. 비슷한 맥락이겠습니다. 앞으로 고성장할 분야가 확실한데 크라우드스트라이크는 저같은 사람에겐 또 너무 비싸군요ㅠ

  2. 가치투자 3.0에 대해 늘 고민만 하다가 님과 페북에서 댓글로 대화를 나누다 어렴풋이 가지고 있었던 생각들이 정리되고…한참 후에 투자 전략 지도 개념을 만들고 나서 기업들 지도를 하나하나 그려보면서 가치투자 3.0 기업들을 몇 개 발견했었습니다. 예상대로 거의 대부분 IT관련 기업들이었습니다. 그중 보안관련 업체 하나가 너무 재무제표도 좋고 투자 전략 지도 위치와 움직임도 좋아서 보니 가치투자 2.0 사고로는 접근할 수조차 없는 PER 35 수준이었습니다..^^ 지금 현재 PER 43인데 1년 EPS성장 50% 했네요. 제가 하고 싶은 말은 망치 하나(대부분 가치투자 1.0)로만 접근해서 대부분의 기업들을 투자 검토에서 제외하기 보단 몇 개의 망치나 연장을 가지고 거기에 맞게 사용하는 게 낫다는 겁니다. 그게 제가 늘 말하는 투자의 진화죠. 그레이엄과 버핏 시대엔 없는 유형의 기업들이 많습니다. 물론 버전이 어떻게 되든간에 함께 가지고 가야할 가치 투자의 원칙은 있습니다. 교집합이죠. 제가 초창기 리노공업이 좋다는 걸 알면서도 못산 과오를 후배투자자들은 하지 않기를 바랄 뿐입니다..^^ 경험상 1.0은 분산, 2.0은 집중, 3.0은 분산이 적합합니다.

  3. 이야기주신대로 강력한 경쟁력을 가진 기업들은 시장에서 비싸게 평가되는 경우가 많아 손을 못 대는 경우가 많은데, 기업군을 분산하던지, 매수기간을 분산하던지 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면 위험성을 낮출수 있겠네요. 저도 생각을 고쳐먹고는 있는데 잘 안되긴 합니다ㅎㅎ

    1. 막연하게 기존 잣대로 “비싸다고 생각하는 게 정말 비싸냐?” 를 고민해야 한다는 겁니다. 버핏은 1.0에서 비싸다고 생각했던 씨즈캔디를 구매하고 장기간 보유하면서 비로소 그걸 깨고 2.0으로 진화해서 코카콜라도 매수할 수 있었죠. 그러면서 새로운 걸 받아들이는 것보다 기존 것을 벗어나는 게 훨씬 더 어렵다고 했었죠. 3.0은 단순히 분산을 위한 분산이 아니라 내가 틀릴 확률이 2.0보단 높기 때문에 분산을 해야 합니다. 2.0은 1.0만 아니면 되지만 3.0은 2.0과 1.0이 아니어야 하죠.

      가치투자자가 페이스북의 메타나 전기자동차의 테슬라나 AI를 선도하는 지금의 엔비디아를 투자검토 리스트에서 아예 제외한다면 납득할 수 있습니다만 100불 가격의 메타(페북에 당시 남긴 글들이 있을 겁니다)와 테슬라(이것도 아마 있을겁니다)나 80불대로 떨어졌던 엔비디아 마저 아예 쳐다보지도 않는다면…글쎄요. (노파심에 다시 얘기하면, 우리나라 투자는 1.0만으로 충분합니다. 2.0 3.0에 해당하는 기업이 거의 없습니다..ㅠ.ㅠ)

      버크셔가 기예 구글을 포트에 담는 날을 그려 봅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