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빈곤율과 노인 자살률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40.5%다. 10명 중 4명이 빈곤 상태에 놓여 있다. 여기에 노인 고용률은 37.3%다. 퇴직 후에도 일하는 노인들이 많다는 이야기지만 내용을 살펴 보면 대부분 단순 노무직과 1차 산업에 집중되어 있다. 비슷한 숫자로 혼자 사는 노인이 37.8%로 214만 가구(2023년 기준)에 이른다. 노인의 반 정도가 생활비를 스스로 마련한다고 답했고, 18%는 주위에 도움을 청할 곳이 없다고 답했다. 노인 자살률은 10만 명당 48.6명이다. 2010년 81.9명에서 기초노령연금과 같은 제도 개선으로 많이 낮아진 숫자지만 여전히 불명예스럽게도 OECE 1위다. 자살이유로는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도 2025년에는 65세 인구가 전체에서 약 20%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고 한다. 2050년이면 노인인구가 40%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니 그때가 되면 국민 5명 중 2명이 노인이 된다. 옆나라 일본에서는 ‘노후 파산’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날 만큼 노후 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한 노인들때문에 이미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기대수명 그래프

기대수명이란 0세의 출생자가 향후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 연수를 말하는데 우리나라 인구의 기대수명은 1970년 62.3세에서 2022년 82.7세로 약 20년 늘어났다. 기대수명은 여성이 남성보다 길다. 2022년 여성의 기대수명은 85.6세로 남성의 79.9세에 비해 5.7년이나 길다. 2024년 1월 기준으로는 여성이 90.7세, 남성이 86.3세로 차이가 조금 줄었다. 일반적으로 건강 수명은 기대 수명보다 약 10년 정도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강 수명으로 대략 여성은 80세, 남성은 76세 전후로 보면 될 것이다. 통계청 데이터는 이 숫자보다 훨씬 낮아서 대략 65세까지를 건강 수명으로 본다.

건강수명 그래프

WHO자료를 보면 건강 수명은 대략 72세 전후까지다.

WHO 건강수명

평범하게(?) 60세 전후에 은퇴한다고 가정하면 아프지 않고 생활할 수 있는 기간이 대략 10년 내외 남짓 남았다는 얘기다. 그 기간을 지금 노인들은 또 어쩔수 없이 먹고 살기위해 일하면서 보내고 있다. 1988년 시작된 국민연금에서 그야말로 꿀 빠는 세대 소리를 듣는 세대지만 현재 노인 빈곤율은 처참한 수준이다. 2024년 3월 기준 노령연금 전체 신규수급자의 경우 평균가입기간은 20년이 채 안되는 237개월에 불과하다. 소득대체율을 약속받은대로 모두 받으려면 40년 이상 가입해야 하는데 가입기간 20년이 안된다면 소득대체율도 반이상 줄어 든다. 만약 소득대체율이 50%라면 25%가 되고 40%라면 20%가 되는 것이다. 2024년 1월 기준 국민연금 수령액 평균은 62만 원으로, 수급자의 절반은 월 40만 원 미만을 받고 있으니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노인이라 하더라도 일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태다. 더구나 노인 2명 중 1명은 국민연금이 전혀 없이 기초노령연금에만 의지하고 있다.

노인 인구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늘어날 게 확정적이고, 지금과 같은 노후 대비가 계속되면 빈곤 노인이 계속해서 양산되는 것도 거의 확정적이다. 또한 경제적 문제로 인한 노인 자살도 계속 증가한다고 예측해도 무리는 아니다. 건강 수명을 늘리기 위한 투자, 노후 대비를 위한 투자가 사회전체적으로든, 개인 영역에서든 반드시 필요한 이유다.

내연금 홈페이지 (csa.nps.or.kr)‘에 접속,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한 후 [국민연금 알아보기-가입내역조회]에서 납입내역을 조회할 수 있고 국민연금 모바일앱 ‘내 곁에 국민연금’을 다운로드하여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면 납입내역과 미래에 내가 받을 예상 연금수령액도 바로 조회할 수 있다. 연금3총사로 불리는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중에서 국민연금은 가장 기초적인 연금이니 꼼꼼히 확인하고 미리미리 준비하는 게 필요하다. 가입기간을 늘리는 게 제일 중요하다. 젊을 때 국민연금 우습게 알다가 나이들어 후회하는 사람들이 참 많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