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평균 체류시간 2분 넘김

어제 기록으로 내 블로그 평균 체류시간이 2분 50초가 됐다. 블로그 운영에서 또 하나의 의미있는 마일스톤인지라 짧게 기록을 남긴다. 항상 체류시간이 2분 미만이라 내 목표 중 하나가 2분을 넘기는 거라고 말했었는데 8월에 글을 좀 열심히 올렸더니 가볍게 넘었다. 체류시간이 글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 중 하나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단기 목표로 언급했었다.

그렇다면 이제 3분을 목표로 해야 하나? 그럴 생각이 없다. 그냥 가볍게 생각했던 목표였기에 그걸 3분으로 늘렸다가 또 3분을 넘어가면 5분으로 늘리고… 한다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다. 이 넓은 인터넷에서 오다 가다 이렇게 만나 잠시 머물다 가는 것도 인연이겠지, 얼마나 오래 있었는지를 재는 시간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집을 나서면 거리 곳곳에 있는 CCTV를 통해 내 행동들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기록되는 것처럼 인터넷에서 활동은 거의 모든 게 측정되고 기록된다. 어떤 키워드를 검색하고 클릭했는지, 어떤 사이트에 얼마나 오래 머물렀는지, 좋아요를 누른 글들은 어떤 종류의 글인지, 이웃이나 친구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심지어 정치성향이나 종교까지도 마음만 먹으면 모두 알 수 있다. SNS 활동 기록만으로도 자신조차 몰랐던 자신의 성향을 샅샅이 알아낼 수 있다고도 한다. 조지 오웰이 말한 빅브라더가 더이상 먼 미래의 일도 아니다.

내 블로그는 현재 하루 평균 20명 정도가 방문하는 아주 작은 블로그다. 20명이 평균 3분을 머문다고 하면 60분의 시간이다. 누군가에게 그토록 소중한 60분이라는 시간이 내 블로그에서 소모되고 있단 말이 된다. 그러므로 무작정 내 블로그에서 소모되는 시간을 늘리는 데 목표를 두기보단 남들의 그 소중한 시간 가치만큼 의미있는 글을 쓰고 있는지를 먼저 되돌아 봐야 한다. 이제 100개 조금 넘는 글을 올린 내 입장에서 질을 논하는 것도 좀 그렇긴 하지만 지나치게 양을 추구하다보면 질이 훼손되기 때문에 당연히 양과 질 두 가지 모두를 추구해야 하지만 둘 중 우선은 질이다.

양은 재미에서 나오고 질은 경험에서 나온다. 글의 양이 많아지면 재미있다는 반증이고 질 높은 글이 올라오면 직간접 경험을 통해 사고의 깊이가 깊어졌다는 반증이다. 남이 머무르는 시간에 집중하지 말고 내 사고의 깊이에 신경써야 한다.

이제 워드프레스 글쓰기 창이 더이상 낯설지 않다. 하지만 익숙함이 마냥 좋은 것도 아니다..

“블로그 평균 체류시간 2분 넘김”의 한가지 생각

  1. 체류시간 평균 5분도 넘어 봤으니 이제 됐다..^^ 전체 공개글로만 쓰다가 25년 6월부터 구독자만 볼 수 있게 바꾸면서 검색순위 하락, 체류 시간 하락, 방문자 수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 역시 그러려니 한다. 이미 300개 넘는 전체 공개글이면 새로 들어 오는 방문자가 읽을 거리는 충분하단 생각이다. 읽어 보고 글이 재밌으면 무료 구독을 해서 계속 볼거고 내 글들이 재미없고 흥미없으면 그냥 스쳐지나갈 뿐. 지금 현재는 평균 체류시간 3분대.

댓글 남기기